|
 |
|
(1) 외부압력 |
압력은 중력에 의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적인 힘으로 욕창을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.피부에 국소적인 |
압력이 가해지면 모세혈관을 폐쇄시키고 조직에까지 혈액순환장애를 가져와 괴사와 궤양이 생기게 된다. |
즉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몸무게가 돌멩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모세혈관의 혈액이 다른 곳으로 |
빠져 나가고 혈액이 부족한 현상이 초래되어 피부가 창백해진다. 잠시 후 그 아래 작은 세포들은 더 이상 신선한 |
에너지 공급을 받지 못하게 된다.욕창은 보통 피하지방이 적고 뼈가 돌출된 부분에 많이 생긴다. |
특히 대전자(trochanter)와 발꿈치,천골,미골에서 높은 발생 빈도를 나타낸다. |
|
(2) 마찰과 응전력(Friction & Shearing Forces) |
마찰은 두 표면이 서로 반대편으로 움직일 때 생긴다.마찰로 인한 상처는 찰과상(abrasion)과 비슷하며. |
피하의 얇은 혈관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준다.주름이 많이 잡혀 있는 홑이불에 누워 있는 대상자는 마찰로 인한 |
조직의 손상을 입게 된다.마찰에 의해 피부 각질층이 벗겨지면 진피에 감염,부종이 생기고 습기가 많아지므로 |
욕창이 생기기 쉽다.스스로 몸을 들지 못하거나 경련성 환자인 경우에 팔꿈치와 발뒷꿈치 피부가 홑이불과 |
마찰을 일으켜 손상을 받기 쉽다.응전력이란 압력과 마찰이 합쳐진 물리적인 힘으로 조직의 한층이 다른층 위로 |
미끄러질 때 생긴다. 이때 그 부위의 작은 혈관들과 모세혈관들은 늘어나서 찢어지기도 하고 피부 밑 조직의 |
혈액순환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. |
|
(3) 가동성과 기동(Mobility & Immobility) |
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또는 누워서 보내는 사람은 움직이지 않은 신체부분에 장기간 압력을 받기 때문에 |
욕창이 잘 생길 수 있다.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은 욕창이 잘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신체가 장기간 압력으로부터 |
고통받는 부위가 없기 때문이다. 건강한 사람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침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. |
의식이 없고 마비가 있는 대상자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자세로 계속 있을 경우에 욕창이 더 쉽게 발생한다. |
척수손상 환자에게서 손상 수준이 높을 때 기동력이 떨어져 욕창의 발생율이 증가한다. 사지마비는 발생율이 |
60%로 하반신 마비의 52%보다 발생빈도가 더 높다. 이는 감각지각과 활동결여로 기동력이 감소되고 사지마비는 |
손상 받은 체표면이 더 크기 때문이다. |
|
(4) 영양 상태(Nutrtion) |
영양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세포들은 쉽게 손상 받기 때문에 욕창발생이 더욱 잘된다. 지속적인 부족한 영양은 |
체중감소,근위축,피하조직의 손실을 가져와 결국은 피부와 뼈 사이를 가깝게 함으로써 욕창의 위험을 |
증가시키며,욕창이 발생한 대상자의 25%가 영양부족이 있다는 결과가 있다. 욕창이 잘 일어날 수 잇는 |
영양상태는 다음과 같다. |
|
|
(가) 저 체 중 : 영양부족 상태는 뼈의 돌출부에 쿠션으로 작용할 연조직량을 감소시킨다. | |
|
(나) 비 만 : 체중증가는 수직압력을 증가시킨다. 비만으로 움직임이 방해된다 | |
|
(다) 혈 액 : 적혈구, 혈색소, 혈청알부민 및 serum ascorbic acid의 감소는 교 원질의 통합성이 | |
|
|
(라) 식 사 : 열량, 단백질, 철분, 비타민C, 아연 등의 영양분이 부족하면 교원질을 변화시켜 조직을 | |
|
|
(5) 습기(Moisture) |
피부가 습기에 장시간 노출되면,외상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킨다.또한,고열은 세포의 산소 요구량을 |
증가시킨다. 체온이 1℃상승하면조직대사와 산소 요구량이 10%증가하므로 3℃ 이상이면 위혐이 높다. |
따라서 습기와 고열은 피부파괴를 일으키는데 압력이 있을 때 증가한다. 대·소변,배액,발한 등으로 발생하는 |
습기는 압력,마찰,응즌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들에 대한 피부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며 특히 변실금으로 인한 |
습기는 대변에 포함된 박테리아와 독성물질에 의해 조직의 표피박리를 일으킨다. |
|
(6) 혈압(Blood pressure) |
이완기 혈압이 60mmHg 이하인 낮은 동맥압은 압력에 대한 피부의 재구성을 저하시키고 낮은 외부 압력에도 |
허혈상태를 발생시킨다.욕창환자의 20% 이상에서 수축기 혈압이 100mmHg이다.순환부전을 동반한 순환기능 |
장애로 조직의 산소 공급이 더 심하게 박탈된다. |
|
(7) 기타 |
|
(가) 노 인 : 낮은 압력으로도 조직의 허혈이 발생한다. | |
|
(나) 흡 연 : 흡연시 혈관 수축,산소운반 능력저하가 조직의 내구성이 감소되는데 영향을 준다. | |
|
(다) 정 신 상 태 : 의식 상태가 명료한 사람은 주기적으로 생길수 있는 압력을 감소시키고적절한 비부의 | |
|
위생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통합성을 유지 할수 있다.무감각,혼돈,혼수상태는 | |
|
자가간호 할 수있는 능력을 감소 시키고 피부손상을 증가시킨다. | |
|
(라) 만성소모성환자:피부의 영양상태가 나쁘기 때문에 욕창발생률이 높다. | |
|
 |
|
(1) 꼬 리 뼈 : 휠체어에서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오랫동안 똑바로 눕지 않습니다. 휠체어 발판을 너무 |
|
높이 올리거나,침대에 너무 오래 앉아 있지 말고 휠체어에서 엉덩이 들어올리기, | |
|
(2) 팔 꿈 치 : 팔꿈치로 기대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합니다. |
(3) 좌 골 : 이동할 때 엉덩이 좌우가 부딪치지 않도록 합니다. |
(4) 엉 덩 이 : 옆으로 너무 오랫동안 누워 있거나 이동할 때 딱딱한 것에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. |
(5) 무 릎 : 의자에 앉거나 누워있을때 서로 맞닿지 않게 합니다. |
(6) 발 목 : 복숭아뼈가 서로 맞닿게 하지 않는다. 누워 있을 때 다리가 개구리처럼 밖으로 돌아가 |
|
|
그러나 욕창은 환자나 가족.의료진의 주의로 완전히 예방 가능한 부분입니다 | |
(7) 뒷 발 꿈 치 : 발지지대나 침상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. |
(8) 발 가 락 : 맨발로 있거나 조이는 신발을 신지 않습니다. | |
|
 |
|
욕창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해서는 욕창 발생의 각 단계에 대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. |
미국 NPUAP(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:국립욕창 자문위원회)에서는 |
4단계 분류체계에 의한 욕창 단계를 소개하고 각 단게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. |
|
(1) 제 1 단계 |
압력을 받은 피부의 주위가 창백해진다.건강하고 분홍색을 띈 피부가 창백하고 하얗게 된다. |
압력이 제거되어도 없어지지 않는 홍반이 있으며 피부가 아직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다. |
압력에 의해 그 부위에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에 반동성 충혈은 정상적으로 1/2~3/4 정도에서 생길수 있다. |
|
(2) 제 2 단계 |
표피와 진피층까지 침범된 피부손상을 말한다.피부색이 변화되고 물집이 생기며 파괴되어 임상적으로는 |
찰과상, 포진(blister)과 얕게 파진 구멍이 있다. |
|
(3) 제 3 단계 |
피하조직층에 괴사가 침범한 두꺼운 피부의 상실이다.그러나 아직 근막층까지는 침범하지 않았다. |
이 궤양은 임상적으로는 주변조직까지는 침해하지 않았거나 침범한 깊은 구멍을 가리킨다. |
|
(4) 제 4 단계 |
근육,뼈,지지조직(건,관절 등)의 광범위한 손상과 조직괴사를 포함한 완전 피부상실이 있다. |
피부 공동은 4단계의 욕창과 관련이 있다. | |